2024-04-25 15:00 (목)
2013년도 한국과학상 및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선정
상태바
2013년도 한국과학상 및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선정
  • 육심무 기자
  • 승인 2013.12.18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과학상, 서울대 김대식, KAIST 장석복, 서울대 서영준 교수
[동양뉴스통신] 육심무 기자 = 2013년도 제14회 한국과학상 수상자로 물리학 분야 김대식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51)와 화학 분야 장석복 KAIST 화학과 교수(52) ,생명과학 분야 서영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57)가 선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8일 자연과학분야의 주요 원리를 규명하여 세계 정상수준의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룩하여, 과학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2013년도 제14회 한국과학상 수상자 3명을 발표했다.
 
김대식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밀리미터 파장 영역의 빛이 나노미터 구멍에 집속되는 현상을 발견해 테라헤르츠-나노기술 분야를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나노세계에서의 빛의 행동이 진공이나 공기 중에서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준 관련 연구결과는 네이처 포토닉스지(Nature Photonics)에 소개되는 등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60여편에 달하는 김 교수의 논문은 총 4800번 이상 인용되는 등 테라헤르츠 나노분야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석복 KAIST 화학과 교수는 팔라듐(Palladium) 촉매를 매개로 하는 탄소-수소 결합의 활성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촉매반응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저반응성 분자의 탄소-수소결합 활성화 경로가 알려짐에 따라 유기합성이나 신약개발 과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탄소-수소 기반 유기반응 개발에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화학회지(J. Am. Chem. Soc)에 게재된 이 연구결과는 연구자들에 의해 280회 넘게 인용되는 등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서영준 서울대 약학대학/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는 세포내 신호 전달과 관련된 분자지표를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을 갖는 물질의 발암억제 효능에 대해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서 교수는 발암기전 및 암예방 관련 연구로 SCI급 국제학술지에 25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네이처 리뷰에 국내 학자로는 처음 초청되어 총설논문을 게재하여 암예방 연구자들에게 지침문헌으로 널리 활용되는 등 관련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연구개발 실적이 뛰어나고 발전 잠재력이 큰 젊은 과학자를 발굴․포상하는 2013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자 4명을 선정․발표했다.
 
젊은과학자상(공학분야) 수상자는 박정욱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부교수(41),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부교수(38), 박수진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친환경에너지공학부 부교수(41), 윤태섭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부교수(40)이다.
 
박정욱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스마트그리드 분야 신재생 에너지원 기반의 분산전원 최적운영, 해석 및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태양광 및 리튬이온 배터리 연계 양방향 하이브리드 PCS,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MSG 양방향 DC/DC 컨버터 등 전력전자 하드웨어 개발과 실증을 통해 산업응용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에너지 재료 설계에 양자역학 계산 원리를 도입하여 새로운 조성의 전극소재를 발굴함과 동시에 리튬 이차전지의 저출력 특성을 규명하고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을 제시하는 등 리튬 이차전지의 핵심 원천기술개발과 산업응용에 크게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박수진 울산과학기술대 친환경에너지공학부 교수는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 현상을 이용한 나노패터닝 원천기술개발과 관련된 고분자공학 및 응용기술에 기여하였고, 특히 나노크기의 패터닝 기술을 유기태양전지, 유기발광소자 및 리튬이차전지에 접목하여 기존의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업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윤태섭 연세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지반환경과 에너지 공학과 관련된 복잡한 지반 재료의 역학적, 물리적 거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 독창적인 실험과 해석, 화학물질 합성을 통한 기능성 재료 개발 및 3차원 이미지 분석 기법을 융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비전통 에너지 자원 회수 및 저장, 미세영역에서의 재료 거동 매커니즘 규명 등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