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17:58 (화)
'AI 예방,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 둬야'
상태바
'AI 예방,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 둬야'
  • 김혜린 기자
  • 승인 2014.02.11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옥식 충발연 책임연구원, 대책 마련 시급

[충남=동양뉴스통신] 김혜린 기자 = 충남발전연구원은 11일 최근 충남을 비롯한 전국에 확산돼 있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예방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충발연 환경생태연구부 정옥식 책임연구원은 “현재 고병원성 AI의 보유숙주가 야생조류라고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으며 고밀도로 사육되는 가금류에서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국내 AI 발병의 주요 특성인 반복적·중복적인 발병과 통제선 밖의 빠른 확산, AI에 따른 야생조류의 폐사 증가 등을 바탕으로 예방 및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을 둔 AI 관리 체계 정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확산을 막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내 AI 발병 시 통제선과 방역지역 밖에서 재발한다”며 “이는 AI의 잠복기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AI 발병 단계 이전에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 가금류 농장을 대상으로 위험군의 전수 조사와 무작위 추출 등 중복적, 정기적(월 1회 이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가금류의 혈액조사·시료 분석을 통해 발병 유무를 체크하는 등 AI 발병에 대해 선제적 대응을 하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최근 고병원성 AI에 감염·폐사한 가창오리, 큰고니, 큰기러기 등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또한 철새 분변에서도 고병원성 AI가 검출되는 등 야생조류가 고병원성 AI를 옮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국내에서 야생조류가 고병원성 AI를 지역 간 옮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가금류의 병원(病原)이 야생조류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조류서식지에 대한 방제(특히 항공방제)는 조류 분산을 확산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금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 연구원은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및 큰기러기 등은 이번 AI 사태에서 보호대상이 아닌 방제대상으로만 여겨지고 있다”고 안타까워하며 “우선 철새도래지 주변에 가금류 농장 신축을 통제하고 가금류의 방사사육을 금지시키는 등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조치도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