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18:09 (화)
[사회칼럼] 지역 농식품산업, 푸드테크 시대를 대비하자
상태바
[사회칼럼] 지역 농식품산업, 푸드테크 시대를 대비하자
  • 김원식
  • 승인 2022.11.28 1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민규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박민규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박민규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

[동양뉴스] 인간은 먹기 위해 사는가, 살기 위해 먹는가

우문(愚問)일 수도 있지만 그만큼 먹는 것의 의미가 크다는 반증일 수 있다.

인간의 평균 수명이 계속적으로 늘어 100세 시대를 맞이하고, 인구 역시 80억명을 넘어, 2080년에는 100억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

따라서 기후위기와 더불어 미래에 닥칠 가장 심각한 문제가 먹거리이다.

식량 부족과 함께 질 높은 식품이나 식단, 개인 맞춤형 영양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전망이다.

먹거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는 시대, 미래 농식품 분야에 거대한 물결이 밀려오고 있는데, 바로 푸드테크(foodtech) 시대 도래이다.

푸드테크는 기존 농식품 관련 산업에 빅데이터, 생명공학, AI, 로봇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접목해 새롭게 창출하는 산업으로 범위가 매우 넓다.

식재료 원료 공급인 농업부터 음식 조리를 돕는 장비, 서빙로봇, 대체육, 배송 등 푸드 비즈니스에 기술을 접목한 모든 것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국내 대표적인 푸드테크 기업으로 배달의민족, 마켓컬리, 트릿지, 그랜랩스 등이 있는데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이 매출규모가 훨씬 큰 CJ제일제당, 대상, 풀무원 같은 식품 대기업보다 높다.

그 이유는 미래 경쟁력의 차이 때문이다.

시장에서 이들 기업의 미래 가치를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푸드테크산업을 알아보자.

대표적인 분야로 첫째, 식품의 기본인 원재료 특히 농업의 디지털화이다.

기존의 관행과 경험, 틀에서 탈피하여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산과 유통에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각종 농장경영 정보와 맞춤형 농사 솔류션이 가능해졌고, 수요·공급 데이터를 통해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거래함으로 유통비용 절감과 수익 증가가 나타났다. 

둘째, 대체육 시장의 확산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축산업 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양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대체육이 전통 축산업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부각되고 있다.

시장 규모 역시 2020년 40억달러(약 5조3000억원) 규모에서 2030년에는 740억달러(약 98조50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개인 맞춤형 음식·식단 및 운동에 대한 수요 증가이다.

삶의 질 향상에 욕구와 푸드테크의 진화가 적절히 조화된 결과이다.

AI와 빅데이터, 바이오기술을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식품 서비스’가 일상화된다.

즉, 생체정보와 선호 음식을 입력하면 AI가 추천 알고리즘으로 맞춤 식단과 운동 코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령화사회가 심화될수록 식품이 헬스케어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될 것이며, 기존 의사, 약사, 영양사의 입지가 하락하고, 데이터 기반 AI가 우대받는 시대가 될 것이다.

푸드테크 시대에 맞춰 인허가에 인색한 우리나라 식약처도 법·제도를 바꾸고 있다.

2020년에 ‘메디푸드’를 '특수의료용도 식품'으로 허가하여, 특정 기준을 맞추면 '○○ 환자식'으로 표기하고 마케팅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일반 식품도 과학적 근거가 있으면 기능성 표시를 할 수 있는 '일반식품 기능성표시제'를 2020년 12월에 시행했다.

건강기능식품에서만 사용되던 기능성 원료의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이로 인해 2022년 6월 말 기준으로 기능성 표시 일반식품으로 출시 또는 예정 제품 수가 256건으로, 2021년 1월 10건 대비 25배 이상 급성장했다.

대구·경북 농식품산업은 업체와 종사자 수는 많으나 매출액과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영세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다.

1인 이상 식품제조업체가 대구와 경북이 각각 3240개, 2157개인 반면, 10인 미만의 종사자와 연 매출 1억 미만의 업체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최근 대구는 식품산업과 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이던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환경 문제로 철회됨에 따라 산업발전의 동력이 약해진 상황이다.

경북을 중심으로 한 농업 역시 고령자를 중심으로 한 소농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영농이나 경영으로는 성장의 한계뿐 아니라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 기반 푸드테크에 적합한 방식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업체와 정책 당국을 중심으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 시대 흐름에 맞춰 일부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단순가공품 생산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고 획기적인 정책도 미흡한 실정이다. 

시대 흐름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淘汰)되는 것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비슷하지만, 특히 지역 농식품 분야는 그 절실함이 더해야 한다고 본다.

민(民)의 혁신적인 변화와 시도 당국의 선도적 정책 추진이 있어야만 혁기적인 퀀텀(quantum) 점프를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푸드테크 시대, 민·관이 기회를 잘 포착하고 과감하고 미래 지향적인 정책을 추진해 대구·경북이 한국, 나아가 글로벌 농식품의 중심지가 되길 기대해 본다.

(외부 칼럼은 동양뉴스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