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9 11:47 (수)
9월 수출 546.6억 달러, 무역수지 37억 달러 흑자…최근 2년 내 최대
상태바
9월 수출 546.6억 달러, 무역수지 37억 달러 흑자…최근 2년 내 최대
  • 서다민
  • 승인 2023.10.02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1~10일 수출 14.8%↓…무역적자 23억 달러<br>​​​​​​​위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동양뉴스DB)
수출 546.6억 달러, 무역수지 37억 달러 흑자…최근 2년 내 최대
위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동양뉴스DB)

[동양뉴스] 서다민 기자 = 지난달 수출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546억6000만 달러, 수입은 16.5% 감소한 509억6000만 달러, 무역수지는 37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에는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감소율을 이어나갔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또한 26억 달러로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 실적을 보이며, 지난해 9월과 매우 근접한 수치를 기록했다. 한편 수출물량은 수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0.3% 증가했다.

품목별로,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10월 이후 최고 실적인 99억 달러를 기록, 1분기 저점 이후 수출 회복 흐름을 이어나갔다. 15개월 연속 수출 증가를 기록한 자동차(+10%, 역대 9월 중 1위)를 포함, 일반기계(+10%), 선박(+15%), 철강(+7%), 디스플레이(+4%), 가전(+8%) 등 6개 주력 품목의 수출도 전년 대비 증가했다. 석유제품(△7%)·석유화학(△6%) 등의 수출 감소율도 한 자릿수를 기록하며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인 8월 대비 크게 개선됐다.

지역별로 보면 9월 대(對)중국 수출은 올해 최고 실적인 110억 달러를 기록, 2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며, 대중국 무역수지(△1억 달러)도 대폭 개선되며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개선흐름을 이어나갔다. 대미국(+9%)·유럽연합(EU)(+7%) 수출은 자동차·일반기계의 양호한 수출실적을 바탕으로 역대 9월 실적 중 1위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나갔다. 올해 들어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던 대아세안 수출은 일반기계·석유화학·철강 등 주요 품목의 수출 증가에 따라 감소율이 한 자릿수(△8%)로 개선됐으며, 특히 아세안 수출의 52%을 차지하는 베트남의 경우 2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3%)를 이어나갔다.

지난달 수입은 원유(△16%), 가스(△63%), 석탄(△37%) 등 에너지 수입이 감소(△36%)함에 따라 △16.5% 감소했다. 에너지 외에도 반도체, 반도체 장비 등의 수입이 감소세를 이어갔다.

무역수지는 최근 2년 내 최대 흑자 규모인 37억 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흑자흐름을 이어나갔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세계적 고금리 기조, 중국의 경기둔화, 공급망 재편 등 여전히 녹록지 않은 대외여건 속에서도 개선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4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과 반도체 수출 최대실적, 올해 최고 수준의 대중국 수출 등 우리 수출이 플러스 전환의 변곡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수출 주무 장관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수출 반등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수출 유관부처·지원기관·경제단체·업종별 협단체 등과 함께 모든 역량을 결집해 총력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산업부는 수출 플러스 조기 전환을 위해 지난달 26일 출범한 ‘수출현장 방문단’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수출현장을 방문해 우리 수출기업들의 애로를 직접 듣고 해결해 나가는 한편,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를 본격 가동해 즉각적인 수출확대 효과가 기대되는 단기 수출확대 프로젝트를 10월 초에 발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