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18:15 (토)
악성림프종 돌연변이 유전자 규명
상태바
악성림프종 돌연변이 유전자 규명
  • 육심무
  • 승인 2014.03.10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림프종 치료기술 실용화 발판될 것으로 기대

▲  국내연구팀이 국내 연구진이 백혈병과 함께 대표적인 혈액암의 하나로 꼽히는 T세포 림프종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밝혀냈다.  

[세종=동양뉴스통신] 육심무 기자 = 이화여대 이상혁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고영혜 교수, 성균관대 유해용 교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성민경 연구원 등이 참여한 연구팀이 국내 연구진이 백혈병과 함께 대표적인 혈액암의 하나로 꼽히는 T세포 림프종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밝혀냈다.

고형암과 달리 표준 치료방법이 없는 T세포 림프종의 표적 항암치료법 개발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연구는유전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3월 3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되었다.  (논문제목: T세포 림프종에서 빈번한 RHOA 유전자의 비활성화 돌연변이-A recurrent inactivating mutation in RHOA GTPase in angioimmunoblastic T cell lymphoma)

▲  이상혁 교수. 

6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혈관면역모세포성 T세포 림프종(AITL)은 고형암에 비해 유전적ㆍ병리적 원인 규명의 어려움 때문에 아직 국제적 표준 치료 방법이 없는 실정이었다.

연구팀은 AITL 환자들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53.3%의 빈도로 RHOA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남을 알아내고 AITL의 원인성 돌연변이로 RHOA를 지목하였다.
   
RHOA 유전자는 Ras 유사 유전자족의 하나로 GTP(구아노신 3인산)에 결합하여 이를 가수분해시키는 작은 G단백질의 일종으로, 액틴(미세섬유) 세포골격의 재구성을 통한 세포의 탈부착 조절, 세포주기 조절 및 세포사멸 등의 다양한 신호전달과정에 참여하며 대장암, 유방암 등에서 암세포를 활성화시킨다.

239명의 림프종 환자의 검체에 대한 추가검증을 통해 해당 돌연변이가 T세포 림프종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것임을 확인한 것이다.

실제 RHOA 유전자에서 17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이 발린으로 바뀌는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세포증식이 활발해지고 암세포가 정상조직을 침범하는 침윤성 등의 발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전달 갈래길의 조절자 역할을 하는 RHOA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단백질 구조변형으로 인해 GTP와 결합하지 못하게 되고, 세포 증식, 사멸, 분열, 골격 재모델링 등의 후속 신호에 이상이 생기면서 결국 림프종이 발생한다는 분자적 기전을 제시한 것이다.

▲  고영혜 교수. 

이상혁 교수와 고영혜 교수는 “지금까지 소외되었던 T세포 림프종의 유전체 연구를 통하여 높은 빈도의 원인성 유전자 변이를 찾고 기능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세포신호전달 기전을 제시함으로써 T세포 림프종의 치료법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한 연구”라고 밝혔다.

연구는 아직까지 분자생물학적 기전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T세포 림프종에 대하여 유전적 소인과 기전의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AITL T세포 림프종은 보통 항암 화학치료를 적용하는데 아직 국제적인 표준 치료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다른 암종과 같이 치료효과가 높은 표적 항암치료제도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 발굴한 발암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와 세포신호전달 기전의 이해에 근거한 핵심 조절 유전자는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약제나 표적 치료제의 개발로 연결되어, 향후 AITL T세포 림프종에 대한 치료기술 실용화를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