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2 15:42 (일)
박홍국 위덕대 교수, 옥류의 원석 산지 8개소 발굴
상태바
박홍국 위덕대 교수, 옥류의 원석 산지 8개소 발굴
  • 박춘화
  • 승인 2018.11.29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옥류 연구의 획기적인 성과
사진은 박 교수가 포항 해변에서 벽옥을 채집해 조사하고 있는 장면.

[경북=동양뉴스통신]박춘화 기자=박홍국 위덕대 교수(위덕대 박물관장)는 29일 오전 10시 30분 경주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2년간 연구해온 결과와 관련 채집물을 제시하면서 그간의 연구결과를 설명했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의 선사~고대시대에 대롱옥·곡옥 등을 만들었던 옥류(玉類)의 원석 산지를 8개소나 발굴했다.

그동안 발견한 원석은 충남 서산 등 8개소의 산지에서 천하석(amazonite)·연옥류 2종·수정·칼세도니(녹옥수: 綠玉髓)·마노(agate)·벽옥(jasper)외에 불명(不明) 원석 2종류 등이다.

천하석과 청록색 벽옥은 주로 청동기시대에 곡옥과 대롱옥으로 각각 제작됐으며, 천하석은 그 시대를 상징하는 옥으로, 삼한시대에는 수정과 마노가 곡옥·다면옥 등으로 제작됐다.

또한, 일본 니이가타현 이토이가와(糸魚川)산 비취곡옥은 황금유물의 등장과 궤를 같이했다. 즉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옥 유물이었다.

하지만 선사~삼국시대의 옥 유물 중에서 일본산 비취 외에는 성분분석까지 거쳐 '이 유물은 어느 지역에서 나는 원석으로 제작한 것'이라고 명확하게 동정(同定)된 국내산 원석은 단 1점도 없는 실정이었다.

이번 논문에서 소개한 원석 중에서 천하석·벽옥·칼세도니 등은 모두 고고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들이었다.

박 교수는 "표면이 산화된 돌은 그 속살을 볼 수 없어 망치로 깨어야 했고, 강이나 개울이 오염돼 이물질이 묻은 돌도 많아 문과출신 연구자가 이제까지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옥류 원석을 찾아 헤매는 실제 원석탐사가 마냥 쉽지만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곡옥 중에서 육안으로도 구별이 가능한 토제·유리제·마노제·수정제·벽옥제 곡옥 이외의 녹색·푸른색 곡옥은 모두 일본산 비취로 분류되는데 대해 평소 의문을 가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또 "일본산 비취가 그 만큼 귀한 것이었다면 비취와 비슷한 자국산 원석으로도 곡옥을 제작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라며 "어느 시대에나 최상위계층의 전유물이었던 옥 유물의 원산지를 찾아내어 수습관계·거리·교역상황 등을 같이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홍국 교수의 이번 연구에 대해 박방룡 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은 "이제까지 유물에만 국한됐던 연구범위를 원석의 조달까지 넓힘으로써 우리나라 옥류 연구에 획기적인 성과"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