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7:26 (금)
서울시, 지난해 말 '고령사회' 첫 진입
상태바
서울시, 지난해 말 '고령사회' 첫 진입
  • 서인경
  • 승인 2019.09.17 0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5세 이상 인구 지속 증가, 지난해 처음으로 14% 초과
시 총인구 내년 초까지 1000만명 이하 예상
서울시 인구피라미드(그래프=서울시청 제공)
서울시 인구피라미드(그래프=서울시청 제공)

[서울=동양뉴스] 서인경 기자= 서울시 조사 결과 지난해 말 시 전체인구는 1004만9607명(지난해 시 등록 내국인‧외국인 인구)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중 65세 이상 인구(141만 명)가 14.4%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시의 65세 이상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지난 2005년 ‘고령화 사회’(7%)에 진입한 데 이어 지난해 말 ‘고령 사회’(14%)에 진입했다. 이와 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 전체인구와 시 등록 내국인 수는 2010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인 반면, 서울 거주 외국인은 1995년 4만5000여명에서 지난해 28만4000여명으로 23년 만에 6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최근 3년 간 시 순전출 인구(전출자 수-전입자 수)가 평균 8만명 이상인 것을 고려했을 때 내년 상반기까지 시 등록인구가 1000만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꾸준히 감소 추세인 시 인구변화에 대해 시민 39.6%는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은 37.9%, '긍정적'은 22.5%이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과 ‘주거’, 나빠지는 분야로는 ‘사회’와 ‘복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령인구 증가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로 생산 가능 연령층(15~64세) 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지속 증가하고 있다.

시 인구의 자연증가(출생자 수-사망자 수)는 지속 감소 추세다. 1992년 14만5000여명에서 지난해 1만3000여명으로 출생자 수는 급격하게 감소 중인데 비해 사망자 수는 소폭 증가한 결과이다.

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경기도 지역으로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명이었다. 순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13만5216명), 서울시로의 순전입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도(2만5321명)이다.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의 인구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물은 결과 '영향없다' 39.6%, '부정적' 37.9%, '긍정적' 22.5% 순으로 응답했다.

인구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0%)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0%) 분야는 인구감소가 지속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한편, 시는 이번 조사‧분석결과 같이 시민들의 실생활과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선정하고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적‧객관적 통계분석 결과를 올 연말까지 매월 공개할 예정이다.

이원목 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급격한 인구변화에 따라 행정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보다 면밀한 분석을 통해 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