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17:09 (토)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 발표
상태바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 발표
  • 오윤옥
  • 승인 2014.06.25 1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이비부머 가구 조사표.(자료/서울시)

[동양뉴스통신]오윤옥 기자= 서울시가 25일 '2013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시가 이날 발표를 살펴보면 ▲서울시민이 느끼는 삶의 질 ▲계층 구조 및 시민의식 ▲사회적 신뢰 및 공동체 의식 ▲주요 생활상 등 217개 지표(12개 분야, 42개 영역)에 대한 시민의견으로 전반적인 서울의 변화와 사회 생활상을 파악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2013년 10월 한 달간 서울시내 2만 가구(15세 이상 4만7384명) 및 거주외국인 2500명, 사업체 5500개를 대상으로 방문면접을 실시해 이뤄졌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의 분야별, 영역별 현황과 원인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제안까지 덧붙여 오는 9월 '2013서울서베이' 보고서로 발간할 계획이다.

류경기 시 행정국장은 "서울서베이 결과에 나타난 서울시민들의 생활상을 면밀하게 분석해 시정운영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시정운영의 기반을 확립해 서울이 준비해 나가야 할 미래를 예측ㆍ대비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7월 초엔 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에 원 자료(Raw data)를 공개해 학술 및 정책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2013년 서울 보통가구는 48세(가구주 평균나이) 전문대졸 학력의 남자 가장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가구소득 분포는 300~400만 원대가 25.1%, 200~300만 원대가 19.7%, 500만 원 이상이 19.4%로 나타났다.

직업을 관리전문직, 화이트컬러, 블루컬러, 기타로 분류해 연령별 직업분포를 살펴본 결과, 40대 이하는 관리전문직과 화이트컬러 비중이, 50대 이상은 블루컬러 비중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2013년 가구부채율은 47.9%로 전년대비 3.0%p 하락해 여전히 절반은 부채를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주된 가구 부채이유는 주택임차 및 구입이 56.0%로 가장 높았으나 2009년 대비 15.3%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비, 생활비, 의료비로 인한 부채가 2009년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있는 가구의 교육환경 만족도는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모두 오차범위 내에서 전년대비 약간 상승했으나, 여전히 6점 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공교육환경 만족도(5.74점)가 사교육환경 만족도(4.83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권역별로 보면 서북권의 공교육 만족도와 동남권의 사교육 만족도가 타 권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서울의 10가구 중 3가구(32.5%) 정도가 1년 동안 가정의 위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을 보면 '가족의 건강이상'(35.4%), '가족이 떨어져 사는 것'(35.1%), '직업불안정'(19.8%)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전년대비 '가족이 떨어져 사는 것', '실직 또는 파산'의 위험은 늘어난 반면 '투자손실'은 줄었다.

서울시민 62.7%가 '보험, 연금, 저축 등'을 통해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 준비율은 2008년 이후 6.5%p 높아졌다. 또한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보험(66.0%), 공적연금(57.5%), 은행저축(55.0%), 개인연금(26.6%) 순으로 나타났다.

2013년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서울의 베이비부머(55~63년생)세대는 146만 명(14.4%)으로 2010년부터 시작된 대규모 은퇴로, 인구구조 변화, 경제활동변화에 따른 정책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가구의 32.4%가 5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베이비부머세대는 3∼4인 중심의 가족구성이지만 이혼별거 상태의 비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가구주의 43.4%는 희망하는 '적정 은퇴시기'를 65세~69세로 응답했으며, 70세 이상이라는 응답도 22.3%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세대의 70% 가까이가 은퇴 후 소득규모를 100∼300만원 미만으로 희망하고 있었으며, 소득활동 분야로는 창업 등 소규모 자영업(21.8%), 유연근무제(17.3%) 순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